맨위로가기

슬로바키아의 국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로바키아의 국장은 슬로바키아를 상징하는 문장으로, 빨간색 방패 안에 하얀색 로렌 십자가가 꽂힌 파란색 산봉우리 문양을 특징으로 한다. 역사를 거쳐 헝가리 왕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1848년 혁명과 슬로바키아 민족주의의 발흥을 거치며 현재의 디자인으로 정립되었다. 슬로바키아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였던 시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국장을 사용했으며, 1993년 독립 이후 현재의 국장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슬로바키아의 상징 - 슬로바키아의 국기
    슬로바키아 국기는 흰색, 파란색, 빨간색 삼색기로, 1848년 혁명기 형태에서 기원하여 체코슬로바키아 시대를 거쳐 독립 슬로바키아 공화국 국기로 사용되었으며, 1990년 디자인 및 채택 후 1992년 국장 추가, 1993년 특별법 제정을 통해 현재에 이른다.
  • 십자 문장 - 통가의 국장
    통가의 국장은 금색 테두리의 방패 안에 다윗의 별, 왕관, 비둘기, 세 개의 검을 배치하여 주요 섬, 왕정, 평화와 기독교, 세 왕가를 상징하며, 방패 아래에는 "신과 통가는 나의 유산"이라는 통가어 표어가 적혀 있다.
  • 십자 문장 - 러시아의 국장
    러시아의 국장은 러시아를 상징하는 국가 문장으로, 쌍두 독수리와 성 게오르기우스가 용을 물리치는 모습이 주요 구성 요소이며,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로부터 러시아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치며 변화를 겪어왔다.
  • 국장 - 기리몬
    기리몬은 오동나무를 문양화한 일본의 가문 문장으로, 세 개의 꽃차례와 잎으로 구성되며 꽃의 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고, 일본 정부 및 역사적 인물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나 국제적 인지도 부족으로 현재는 다른 상징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 국장 - 통가의 국장
    통가의 국장은 금색 테두리의 방패 안에 다윗의 별, 왕관, 비둘기, 세 개의 검을 배치하여 주요 섬, 왕정, 평화와 기독교, 세 왕가를 상징하며, 방패 아래에는 "신과 통가는 나의 유산"이라는 통가어 표어가 적혀 있다.
슬로바키아의 국장
기본 정보
슬로바키아의 국장
슬로바키아의 국장
국가슬로바키아
채택일1990년 3월 1일 (1919년 6월 13일)
문장 구성적색 방패 안에 세 봉우리 산 청색, 그 위에는 은색 쌍십자가가 솟아 있다.
국가 상징
국가국가 (Nad Tatrou sa blýska)
국장국장
국기국기
국새국새
정치
정치 체제헌법
정부 형태정부
입법부국민의회
행정 구역
행정 구역
군구

2. 역사

슬로바키아의 국장은 오랜 역사를 거치며 여러 국가와 왕조의 영향을 받아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했다.


  • 초기 형태: 헝가리의 벨라 3세가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을 받은 로렌 십자 문양을 처음 사용했고, 헝가리의 벤첼(보헤미아의 바츨라프 3세)은 십자가가 꽂힌 3개의 산봉우리 문양을 처음 사용했다.
  •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상징: 1848년 혁명 당시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조직인 슬로바키아 민족평의회는 빨간색 방패에 하얀색 로렌 십자가가 꽂힌 파란색 산봉우리 문양을 슬로바키아인을 상징하는 범슬라브색 문양으로 제정했다.
  • 체코슬로바키아 시대: 1920년 독립한 체코슬로바키아 국장에 슬로바키아 국장이 포함되었고, 1939년부터 1945년까지는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으로 사용되었다. 1960년부터 1990년까지는 파시즘 정권의 상징이라는 이유로 사용이 금지되었고, 크리반봉과 3개의 횃불 문양(1944년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를 의미)이 대신 사용되었다.
  • 현대 슬로바키아: 1990년 벨벳 혁명 이후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으로 다시 사용되었고,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 독립 슬로바키아의 국장이 되었다. 1990년 슬로바키아 내무부는 라디슬라프 치사리크와 라디슬라프 브르텔에게 새로운 국장 제작을 위임했고, 이들은 14세기 헝가리 왕국 국장, 특히 헝가리의 루이 1세의 인장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디자인을 완성했다. 다만, 국가 상징성을 강조하기 위해 언덕 크기를 세 배로 확대했다.[1][2][3]


현대적 해석에 따르면 이중 십자가는 기독교 전통의 상속자이자 수호자로서의 슬로바키아를 나타낸다.[5] 현재 슬로바키아 국장은 슬로바키아 공군의 라운델로 사용되며, 1992년부터 슬로바키아 국기에도 배치되고 있다.

2. 1. 헝가리 왕국의 영향

헝가리의 벨라 3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을 받은 로렌 십자 문양을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헝가리의 벤첼(보헤미아의 바츨라프 3세)은 십자가가 꽂혀진 3개의 산봉우리 문양을 처음으로 사용했다.[8][6] 왕권의 상징인 이중 십자가는 헝가리의 벨라 3세(1172–1196) 왕의 통치 기간에 처음 나타났다.[8][6] 헝가리의 성 라슬로 1세의 딸인 헝가리의 성 이레네는 비잔틴 황후였으며, 마누엘 1세 콤네노스 비잔틴 황제의 어머니였다. 헝가리의 게자 2세의 둘째 아들인 벨라는 1163년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했다. 벨라는 12세기 중반 비잔틴-헝가리 관계가 돈독했기 때문에 마누엘의 황실에서 양육되었으며, 심지어 왕위 계승자이기도 했다. 그는 헝가리-비잔틴 개인 연합을 창설하려는 야망을 품고 있었다.[6] 1169년, 마누엘의 젊은 아내가 아들을 낳으면서 벨라는 비잔틴 왕위 계승자 자격을 박탈당했다. 헝가리 왕실과 콘스탄티노플 황실 사이의 가장 집중적인 접촉은 벨라 3세 치하에서 이루어졌다.[6] 이 시기에 벨라 3세는 왕실 문장으로 이중 십자가를 가져왔으며, 이는 그의 문장과 주조된 동전에 처음 나타났다.[8][6]

Béla IV of Hungary, king, royal, seal, gold, golden bull, Hungary, double cross, Hungarian coat of arm
이중 십자가가 있는 헝가리의 벨라 3세 왕의 동전


Béla IV of Hungary, king, royal, seal, gold, golden bull, Hungary, double cross, Hungarian coat of arm
헝가리의 벨라 4세의 금인장


헝가리의 성 이슈트반 (1000–1038), 연대기에 묘사된 최초의 헝가리 왕 (1358)


King Louis I of Hungary, royal, seal, Hungary, double cross, Hungarian coat of arm


헝가리의 벨라 4세(1235–1270) 왕의 동전과 인장에도 이중 십자가 방패가 다시 나타난다.[9]

1301년 아르파드 왕조의 남성 계열이 단절된 후, 헝가리 앙주 왕가(헝가리의 카롤 1세(1308–1342), 헝가리의 루이 1세(1342–1382))는 아르파드 왕조의 줄무늬 방패와 자신들의 백합 문장을 결합했다. 앙주는 줄무늬 방패를 사용하여 여성 계통을 통해 아르파드 왕조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그들은 인장의 뒷면에 헝가리 왕국을 상징하는 이중 십자가를 새겼다.[11]

1848년 혁명을 계기로 소집된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조직인 슬로바키아 민족평의회가 슬로바키아인을 상징하는 범슬라브색(빨강-하양-파랑) 문양을 제정하면서 빨간색 방패 안에 하얀색 로렌 십자가 꽂혀진 파란색 산봉우리 문양을 사용했다.

세 개의 봉우리는 헝가리 왕국의 북부 산악 지대를 상징하는 타트라, 마트라, 파트라의 세 산맥을 나타낸다. (타트라 산맥과 파트라 산맥은 현재 슬로바키아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해석은 아마도 가장 오래되고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15세기부터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슈트반 베르뵈치의 16세기 저서 "Tripartitum"에 따르면, 이 언덕들은 이러한 순서로 산들을 나타낸다.

이중 십자 아래의 세 개의 산은 헝가리 왕으로 즉위했지만, 프르제미슬 왕조 출신의 체코인이었던 라디슬라우스 (1301–1305)가 사용했다.

2. 2. 슬로바키아 민족주의의 발흥

헝가리의 벨라 3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을 받아 로렌 십자 문양을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헝가리의 벤첼(보헤미아의 바츨라프 3세)은 십자가가 꽂힌 3개의 산봉우리 문양을 처음 사용했다. 1848년 혁명을 계기로 소집된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조직인 슬로바키아 민족평의회는 슬로바키아인을 상징하는 범슬라브색(빨강-하양-파랑) 문양을 제정하면서 빨간색 방패 안에 하얀색 로렌 십자가가 꽂힌 파란색 산봉우리 문양을 사용했다.[5]

슬로바키아에는 이중 십자가가 비잔틴 제국 출신의 두 명의 선교사인 성 키릴과 성 메토디우스에 의해 전해졌다는 전설이 있다. 이 전설은 19세기 중반 슬로바키아인들의 민족 의식이 고조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그러나 고고학적 발견으로는 대모라비아 시대나 그 직후 시대에 중부 유럽에 이중 십자가가 존재했음을 확인한 사례는 없다. 슬로바키아의 고고학자 티투스 콜니크는 키릴과 메토디우스의 이중 십자가 전설은 허구라고 주장한다.[6]

아르파드 왕조의 초기 헝가리 왕실 동전(헝가리의 성 이슈트반 1세(997–1038), 헝가리의 벨라 1세(1060–1063))에 이중 십자가가 나타났다는 주장이 있지만, 헝가리의 벨라 3세(1172–1196) 왕의 동전에 실제 이중 십자가가 묘사되기 전까지는 확실하지 않다. 중앙 필드의 "십자가"와 분할 기호가 동전의 콜로폰에 있는 실제 십자가와 합쳐진 것은 우연의 일치이며 이중 십자가로 간주될 수 없다.[6][7]

왕권의 상징인 이중 십자가는 헝가리의 벨라 3세(1172–1196) 왕의 통치 기간에 처음 나타났다.[8][6] 헝가리의 성 라슬로 1세의 딸인 헝가리의 성 이레네는 비잔틴 황후였으며, 마누엘 1세 콤네노스 비잔틴 황제의 어머니였다. 헝가리의 게자 2세의 둘째 아들인 벨라는 1163년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했다. 벨라는 12세기 중반 비잔틴-헝가리 관계가 돈독했기 때문에 마누엘의 황실에서 양육되었으며, 왕위 계승자이기도 했다. 1169년, 마누엘의 아들이 태어나면서 벨라는 비잔틴 왕위 계승자 자격을 박탈당했다. 헝가리 왕실과 콘스탄티노플 황실 사이의 가장 집중적인 접촉은 벨라 3세 치하에서 이루어졌다.[6] 이 시기에 벨라 3세는 왕실 문장으로 이중 십자가를 가져왔으며, 그의 문장과 주조된 동전에 처음 나타났다.[8][6]

헝가리의 벨라 4세(1235–1270) 왕의 동전과 인장에도 이중 십자가 방패가 다시 나타난다.[9]

1301년 아르파드 왕조가 단절된 후, 헝가리 앙주 왕가(헝가리의 카롤 1세(1308–1342), 헝가리의 루이 1세(1342–1382))는 아르파드 왕조의 줄무늬 방패와 자신들의 백합 문장을 결합했다. 앙주는 줄무늬 방패를 사용하여 여성 계통을 통해 아르파드 왕조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그들은 인장의 뒷면에 헝가리 왕국을 상징하는 이중 십자가를 새겼다.[11]

1526년 합스부르크가가 헝가리 왕국의 왕이 된 이후, 이중 십자가 상징과 줄무늬 상징을 포함한 현재의 "결합된" 헝가리 국장이 헝가리 왕국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16세기 후반, 슬로바키아인들은 이중 십자가를 그들의 국가 상징으로 보기 시작했다.[5] 1848년 슬로바키아 국민 평의회는 슬로바키아의 국가 상징으로 현재의 국장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세 개의 산의 색상은 원래 녹색이었지만, 1848년 슬로바키아 국민 평의회는 슬라브 삼색기에 맞춰 파란색으로 사용했다.

2. 3. 체코슬로바키아 시대

1920년에 독립한 체코슬로바키아의 국장에 슬로바키아의 국장이 처음 등장했으며,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으로도 사용되었다. 1960년부터 1990년까지는 파시즘 정권의 상징이라는 이유로 공식적인 사용이 금지되었고, 크리반봉과 3개의 횃불 문양을 사용했다. 3개의 횃불 문양은 1944년에 일어난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를 의미했다.

1918년, 체코슬로바키아 군대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삼국 협상이 체코슬로바키아 정치인들에게 약속한 영토 약속에 따라 헝가리 북부를 점령하기 시작했다.[1] 그러나 슬로바키아(상부 헝가리)는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의 헝가리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이들은 괴뢰 정권으로서 슬로바키아 소비에트 공화국을 세웠다.[1] 이 공화국의 문장은 공산주의의 상징인 붉은 별이었다.[1] 짧은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간의 전쟁 이후, 슬로바키아는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되었다.[1]

1990년 벨벳 혁명을 계기로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으로 다시 사용되었고, 1993년 1월 1일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를 계기로 독립한 슬로바키아의 국장으로 사용되었다. 1993년 2월 18일의 법률은 국장의 세부 사항을 명확히 했다.[2]

2. 4. 현대 슬로바키아

1848년 혁명을 계기로 소집된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조직인 슬로바키아 민족평의회는 슬로바키아인을 상징하는 범슬라브색(빨강-하양-파랑) 문양을 제정하면서 빨간색 방패 안에 하얀색 로렌 십자가 꽂혀진 파란색 산봉우리 문양을 사용했다.[5]

1920년에 독립한 체코슬로바키아 국장에 등장했으며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으로도 사용되었다. 1960년부터 1990년까지는 파시즘 정권의 상징이라는 이유로 공식적인 사용이 금지되었고 크리반봉과 3개의 횃불 문양을 사용했다. 3개의 횃불 문양은 1944년에 일어난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를 의미했다. 1990년에 벨벳 혁명을 계기로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으로 사용되었고 1993년 1월 1일에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를 계기로 독립한 슬로바키아의 국장으로 사용되었다.[1][2][3]

1990년, 슬로바키아 내무부는 벨벳 혁명 이후 새로운 국장과 국기를 제작하는 임무를 라디슬라프 치사리크(화가이자 문장 예술가)와 라디슬라프 브르텔(문장학 전문가)에게 위임했다. 치사리크와 브르텔은 현대적인 국장과 국기 디자인을 14세기부터 존재해 온 헝가리 왕국의 국장을 기반으로 했다. 이는 헝가리의 루이 1세의 인장을 기반으로 했다.[10][4] 그러나 치사리크와 브르텔은 이를 국가의 상징으로 강조하기 위해 언덕의 크기를 세 배로 확대했다. 이들은 국장과 슬로바키아 국기 외에도 동일한 디자인을 적용한 새로운 대통령 기를 디자인했다.

현대적 해석 중 하나는 이중 십자가가 기독교 전통의 상속자이자 수호자로서의 슬로바키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5]

슬로바키아 공군의 라운델로 사용된다.

1992년부터 이 국장은 또한 슬로바키아 국기에 배치된다.

3. 구성 요소

슬로바키아 국장의 바탕색인 흰색, 빨간색, 파란색은 범슬라브색으로 슬라브족을 상징한다. 이중 십자(총대주교 십자)는 비잔틴 제국에서 유래한 동방 정교회의 상징이며, 3개의 언덕은 타트라 산맥, 대 파트라 산맥, 마트라 산맥(현재 헝가리 영토)을 의미한다.

"세 언덕 위의 이중 십자" 도안은 헝가리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 헝가리의 국장에도 유사한 도안이 남아 있다. 슬로바키아는 오랫동안 헝가리에 속해 있었으며, 19세기 이후 슬로바키아 민족주의자들이 헝가리 문장의 녹색 언덕을 파란색으로 바꾸어 슬로바키아의 상징으로 사용했다.

1848년 혁명 당시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조직인 슬로바키아 국민 평의회는 범슬라브색(빨강-하양-파랑) 바탕에 하얀색 로렌 십자가와 파란색 산봉우리 문양을 사용했다.[5]

3. 1. 이중 십자 (로렌 십자)

헝가리의 벨러 3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을 받은 로렌 십자 문양을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헝가리의 벤첼(보헤미아의 바츨라프 3세)은 십자가가 꽂혀진 3개의 산봉우리 문양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1848년 혁명을 계기로 소집된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조직인 슬로바키아 민족평의회는 슬로바키아인을 상징하는 범슬라브색(빨강-하양-파랑) 문양을 제정하면서 빨간색 방패 안에 하얀색 로렌 십자가 꽂혀진 파란색 산봉우리 문양을 사용했다.[5]

슬로바키아에는 이중 십자가가 비잔틴 제국 출신의 두 명의 선교사인 성 키릴과 성 메토디우스에 의해 이 지역으로 전해졌다는 암호화된 신화가 있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전설은 19세기 중반 슬로바키아인들의 민족 의식이 고조되는 과정에서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러서야 생겨났다. 지금까지 고고학적 발견으로는 대모라비아 시대나 그 직후 시대에 중부 유럽에 이중 십자가가 존재했음을 확인한 사례는 없다. 현재 슬로바키아에서 가장 오래된 이중 십자가는 11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게다가 비잔틴 동전의 묘사를 제외하고, 이중 십자가는 10세기 중반 이전에는 벽화, 조형물, 단독 객체로 나타난 적이 없다. 슬로바키아의 고고학자 티투스 콜니크에 따르면, 키릴과 메토디우스의 이중 십자가 전설은 허구이다. "신화는 역사보다 더 강력하다."[6]

또한 키릴과 메토디우스와 관련된 이중 십자가 전설을 입증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아르파드 왕조의 초기 헝가리 왕실 동전(헝가리의 성 이슈트반 1세(997–1038), 헝가리의 벨라 1세(1060–1063))에 이중 십자가가 나타났다고 추정되는 것에서 헝가리의 벨라 3세 (1172–1196) 왕의 동전에 실제 이중 십자가가 묘사된 것에 이르기까지 그 잠재적인 매개 역할을 탐구하려는 시도가 있다. 중앙 필드의 "십자가"와 분할 기호가 동전의 콜로폰에 있는 실제 십자가와 합쳐진 것은 전적으로 우연의 일치이며 이중 십자가로 간주될 수 없다. 그것은 아이콘적 오해, 즉 두 개의 일반적인 십자가를 단순하게 오해한 것이다.[6][7]

왕권의 상징인 이중 십자가는 헝가리의 벨라 3세(1172–1196) 왕의 통치 기간에 처음 나타났다.[8][6] 헝가리의 성 라슬로 1세의 딸인 헝가리의 성 이레네는 비잔틴 황후였으며, 마누엘 1세 콤네노스 비잔틴 황제의 어머니였다. 헝가리의 게자 2세의 둘째 아들인 벨라는 1163년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했다. 벨라는 12세기 중반 비잔틴-헝가리 관계가 돈독했기 때문에 마누엘의 황실에서 양육되었으며, 심지어 왕위 계승자이기도 했다. 그는 헝가리-비잔틴 개인 연합을 창설하려는 야망을 품고 있었다.[6] 1169년, 마누엘의 젊은 아내가 아들을 낳으면서 벨라는 비잔틴 왕위 계승자 자격을 박탈당했다. 헝가리 왕실과 콘스탄티노플 황실 사이의 가장 집중적인 접촉은 벨라 3세 치하에서 이루어졌다.[6] 이 시기에 벨라 3세는 왕실 문장으로 이중 십자가를 가져왔으며, 이는 그의 문장과 주조된 동전에 처음 나타났다.[8][6]

헝가리의 벨라 4세(1235–1270) 왕의 동전과 인장에도 이중 십자가 방패가 다시 나타난다.[9]

1301년 아르파드 왕조의 남성 계열이 단절된 후, 헝가리 앙주 왕가(헝가리의 카롤 1세(1308–1342), 헝가리의 루이 1세(1342–1382))는 아르파드 왕조의 줄무늬 방패와 자신들의 백합 문장을 결합했다. 앙주는 줄무늬 방패를 사용하여 여성 계통을 통해 아르파드 왕조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그들은 인장의 뒷면에 헝가리 왕국을 상징하는 이중 십자가를 새겼다.[11]

1526년 합스부르크가가 헝가리 왕국의 왕이 된 이후, 이중 십자가 상징과 줄무늬 상징을 포함한 현재의 "결합된" 헝가리 국장이 헝가리 왕국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이중 십자가 아래 작은 왕관은 17세기에 추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1920년에 독립한 체코슬로바키아의 국장에 등장했으며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으로도 사용되었다. 1960년부터 1990년까지는 파시즘 정권의 상징이라는 이유로 공식적인 사용이 금지되었고 크리반봉과 3개의 횃불 문양을 사용했다. 3개의 횃불 문양은 1944년에 일어난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를 의미했다. 1990년에 벨벳 혁명을 계기로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으로 사용되었고 1993년 1월 1일에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를 계기로 독립한 슬로바키아의 국장으로 사용되었다.

현대적 해석 중 하나는 이중 십자가가 기독교 전통의 상속자이자 수호자로서의 슬로바키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5]

3. 2. 세 개의 봉우리

헝가리 왕국의 북부 산악 지대를 상징하는 세 개의 봉우리는 타트라, 마트라, 파트라를 나타낸다. 타트라 산맥과 파트라 산맥은 현재 슬로바키아에 있다. 이러한 해석은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15세기부터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슈트반 베르뵈치의 16세기 저서 "Tripartitum"에 따르면, 이 언덕들은 이러한 순서로 산들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중 십자 아래의 세 개의 산은 헝가리 왕으로 즉위했지만, 프르제미슬 왕조 출신의 체코인이었던 라디슬라우스 (1301–1305)가 사용했다. 3개의 언덕은 슬로바키아를 상징하는 타트라 산맥, 대 파트라 산맥, 마트라 산맥(마트라는 현재 헝가리 영토에 있다)을 의미한다. 원래 "세 언덕 위의 이중 십자" 도안은 헝가리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 헝가리의 국장에도 유사한 도안이 남아 있다. 슬로바키아는 오랫동안 헝가리에 속해 있었으며, 북부 헝가리의 슬라브인 지역이 19세기 이후 슬로바키아 민족주의를 주장하게 되면서 헝가리 문장의 녹색 언덕을 파란 언덕으로 바꾸어 슬로바키아의 상징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3. 3. 범슬라브색

1848년 혁명을 계기로 소집된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조직인 슬로바키아 국민 평의회는 슬로바키아인을 상징하는 범슬라브색(빨강-하양-파랑) 문양을 제정했다. 이들은 빨간색 방패 안에 하얀색 로렌 십자가 꽂혀진 파란색 산봉우리 문양을 사용했다.[5] 바탕색인 흰색, 빨간색, 파란색은 범슬라브색이라고 불리며 슬라브족을 상징한다.

1848년 슬로바키아 국민 평의회는 슬라브 삼색기에 맞춰 세 개의 산 색상을 원래 녹색에서 파란색으로 사용했다.

4. 역대 슬로바키아의 국장

헝가리의 벨러 3세가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을 받은 로렌 십자 문양을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헝가리의 벤첼(보헤미아의 바츨라프 3세)은 십자가가 꽂혀진 3개의 산봉우리 문양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1848년 혁명을 계기로 소집된 슬로바키아 민족주의 조직인 슬로바키아 민족평의회는 슬로바키아인을 상징하는 범슬라브색(빨강-하양-파랑) 문양을 제정하면서 빨간색 방패 안에 하얀색 로렌 십자가 꽂혀진 파란색 산봉우리 문양을 사용했다.

1918년 체코슬로바키아 군대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삼국 협상이 체코슬로바키아 정치인들에게 약속한 영토 약속에 따라 헝가리 북부를 점령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슬로바키아(상부 헝가리)는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이들은 괴뢰 정권으로서 슬로바키아 소비에트 공화국을 세웠다. 이 공화국의 문장은 공산주의의 상징인 붉은 별이었다. 짧은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간의 전쟁 이후, 슬로바키아는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되었다.[1]

1920년에 슬로바키아의 문장은 체코슬로바키아의 국장의 일부가 되었다.[2] 1939년부터 1945년까지는 제1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가 상징이었다.[3]

1945년에 다시 체코슬로바키아 국장의 일부가 되었다. 1960년부터 1990년까지 이 상징은 공산주의자들이 파시스트 슬로바키아 국가의 상징으로 해석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금지되었다. 이전의 국장은 체코슬로바키아 국장에서 크리반 산과 세 개의 불꽃으로 구성된 인공적인 상징으로 대체되었다. 세 개의 불꽃은 1944년의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4]

1990년 3월 1일, 벨벳 혁명 이후, 이전의 국장은 여전히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였던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공식 상징이 되었다. 1992년 9월 3일 슬로바키아 공화국 헌법에 따라, 동일한 국장은 1993년 1월 1일에 탄생한 독립 슬로바키아의 상징이 되었다. 1993년 2월 18일의 법률은 국장의 세부 사항을 명확히 했다.[5] 국장은 슬로바키아 공군의 라운델로 사용된다.[6] 1992년부터 이 국장은 슬로바키아 국기에도 배치된다.[7]

1848년 슬로바키아 봉기 당시 깃발
1848-1849년 슬로바키아 봉기 당시의 이 깃발은 푸른색의 세 개의 언덕이 있는 슬로바키아 국장의 최초 묘사 중 하나였다. 이 깃발에는 아르파드 줄무늬와 함께 헝가리 국장이 채택되었다.
(1848–1849)
--슬로바키아 소비에트 공화국의 국장
(1919)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국장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국장. 공식적인 체코슬로바키아 상징이 만들어지기 전에 사용되었다. 때때로 녹색 언덕과 함께 묘사되기도 했다.
(1914–1920)
--체코슬로바키아의 소규모 국장
(1920–1939)
(1945–1960)
--체코슬로바키아의 중규모 국장
(1920–1939)
(1945–1960)
--체코슬로바키아의 대규모 국장
(1920–1939)
(1945–1960)
--제2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내 슬로바키아 자치 지역의 국장
(1938–1939) 및
제1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
(1939–1945)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
(1960–1990)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
(1969–1990)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공화국의 국장
(1990–1992)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공화국 내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국장
(1990–1992)


참조

[1] 뉴스 Zomrel autor výtvarného spracovania štátnych symbolov SR http://www.teraz.sk/[...] News Agency of the Slovak Republic 2017-08-03
[2] 뉴스 Zomrel autor slovenských národných symbolov Ladislav Čisárik ml. https://domov.sme.sk[...] SME 2017-08-03
[3] 뉴스 How the national emblem appeared – including so far secret communism designs https://spectator.sm[...] The Slovak Spectator 2017-02-16
[4] 뉴스 Lenyúlták-e a szlovákok a magyar címert? https://mandiner.blo[...] Mandiner
[5] 웹사이트 Štátny znak Slovenskej republiky http://www.heraldica[...] 2018-01-09
[6] 웹사이트 Byzantine roots of the iconography and symbolism of the state coat of arms of the Slovak Republic https://matica.sk/by[...] 2019-09-13
[7] 간행물 Kolník: Byzantské korene ikonografie a symboliky štátneho znaku Slovenskej republiky Historický Zborník, 1999. 9. 13–32. p.
[8] 서적 A magyar címer története https://library.hung[...] Pytheas
[9] 서적 A magyar címer története https://library.hung[...] Pytheas
[10] 서적 Új magyar címertan Maecenas Könyvkiadó
[11] 서적 A magyar címer története https://library.hung[...] Pythe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